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비스 기획 특강 정리: PMF부터 애자일까지
    카테고리 없음 2025. 2. 17. 13:21

    서비스 기획 특강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실무적인 팁부터 시장에서 성공하는 프로덕트의 조건까지 폭넓은 주제가 다뤄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핵심 내용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1. PMF(Product-Market Fit)와 시장에서 먹히는 프로덕트

     문제 해결 능력이 핵심

    •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 빠르게 딜리버리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발을 직접 하지 않더라도 기획자가 조합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술적 혁신뿐만 아니라 운영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갖춘 기업이 성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시장 분석과 포지셔닝

    • 해외 사례를 참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SaaS 기반 서비스 기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 경쟁사를 분석할 때는 **아하 모먼트(Aha Moment)**를 빠르게 만들어내는 전략이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 문제 정의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왜?"라는 질문을 반복하여 깊이 있는 고민을 해야 합니다.

    2. 고객 이해와 문제 정의

     비타민 vs 페인킬러

    • 혁신적인 서비스는 크게 **비타민(Vitamin)**과 **페인킬러(Painkiller)**로 나뉩니다.
      • 비타민: 있으면 좋은 서비스 (감이 중요함)
      • 페인킬러: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 (고객의 불편을 해결해야 함)
    • 페인킬러형 서비스가 검증하기 쉽고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고객의 행동을 관찰하여 비효율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객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노가다'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가 될 수 있습니다.

     문제 정의 방법론

    • 고객의 말을 직접 듣는 것도 중요하지만, 행동과 맥락을 분석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 문제 정의를 잘하려면 "왜 그럴까?"를 반복해서 묻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경쟁사 분석을 할 때는 그들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차별점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애자일(Agile) 방법론과 실무 적용

     애자일 개발과 이터레이션(Iteration)

    • 서비스는 작은 단위로 쪼개어 유저의 반응을 살펴보면서 개선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 이터레이션(Iteration): 2~4주 주기로 가설을 검증하고 반복하는 과정
    •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팀 단위의 목표(KPI)를 설정하고 협업하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유저 스토리(User Story) 활용

    • "@@ 사용자는 @@ 할 수 있다." 형식으로 유저 스토리를 작성하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리할 수 있습니다.
    • Task를 바로 적는 것이 아니라, **JTBD(Job to Be Done, 사용자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저 스토리를 잘 정리하면 QA 과정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 스프린트(Sprint): 일정 주기로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단위
    • IPM(Iteration Planning Meeting): 각 스프린트 계획을 세우는 회의
    • 회고(Retrospective): 프로젝트 진행 후 개선점을 찾는 과정 (애자일 문화의 핵심)

     기획 문서와 트래킹

    • PRD(Product Requirement Document): 기획자가 작성하는 문서로, 기능의 조건과 복잡성을 체크하여 계획을 수립
    • 트래킹 이벤트 설정: 런칭 후 유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이벤트를 미리 설정해야 함
    • 버그 리포트 보드 활용: 프론트엔드에서 발생하는 버그를 효과적으로 관리

    4.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과 조직 운영

     PM의 역할

    • 조직원들이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
    • 프로젝트의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페어코딩, 챌린지 추가 등을 통해 조직을 리딩해야 함
    • 액션 아이템을 명확히 설정하여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

     팀 내 협업 문화

    •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 / 싱크(Sync) / 스탠드업(Stand-up) 등의 회의를 통해 진행 상황을 공유
    • 체크인(Check-in): 팀원의 컨디션과 몰입도를 공유하여 팀워크 강화
    • 애자일 조직에서는 스테이지(Stage) 서버를 활용하여 기능 테스트를 진행하고, 베타 출시 전 검증하는 과정이 일반적임

    마무리

    이번 특강에서는 PMF(Product-Market Fit)를 찾는 과정, 문제 정의 방법론,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 그리고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까지 실무적으로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핵심을 요약하자면:

    1. 시장에 먹히는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 문제를 뾰족하게 정의하자.
    2. 고객의 행동을 관찰하고 불편함을 해결하는 페인킬러 서비스를 고민하자.
    3. 애자일하게 진행하며 빠르게 가설을 검증하고, 유저 스토리를 활용해 기획하자.
    4. 조직 운영과 협업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 실무에서 이 내용을 잘 적용해보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댓글

Designed by Tistory.